글로벌시장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대표건설사들의
전략기지가 되겠습니다.

KFCC 자료실

Global Market Explorer, Global Base Camp

KFCC 칼럼

Home > KFCC 자료실

제목 건설경영자의 미학 (전략적 건설경여자의 3가지 역할) / 김인호 고려대학교 건설대학원 초빙교수
이름 관리자 이메일  bbanlee@kfcc.or.kr
작성일 2018-07-03 조회수 3417
파일첨부  



colom_201807.jpg



필자는 건설 분야 기술직 공무원으로 공직에 입문하여 조직 특성이 강한 국방부에서 약 36년을 근무하였다. 대부분의 기간 동안 군사시설(건설) 분야에서 일하다 보니 건설경영자 위치에 있는 다양한 분들과 만나 건설경영에 관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 분들이 언급하는 업무추진방식을 듣고 정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필자 자신은 건설경영에 관한 경험과 역량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략적 건설경영자가 최근의 급변하는 건설상황에서 수행해야 할 본질적 역할을 정립할 수 있었다. 그 역할을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상황을 넓게 조망하는 관리자의 역할이다. 일상적인 업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문제들은 복잡하지도 않고 해결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요구되지도 않는다. 그러나 그때그때 철저히 해결해 놓지 않으면 문제들이 누적되어 조직의 생존을 위협하는 큰 문제로 비화되기 때문에 해결시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그러나 문제의 해결에만 주안점을 두는 소극적인 관리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문제 자체의 속성을 이해하고, 문제가 유발된 상황과 그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의 변화도 인식해야 한다. 문제 자체는 물론 문제와 관련된 영역 전체를 한꺼번에 조망할 수 있는 지적시야를 갖추고 상황을 넓게 조망하면서 건설업계 전체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턴키사업 등의 수주를 위해 이전 투구하는 과정에서 겪는 불합리한 현실을 발주자의 탓으로만 돌리기보다는, 건전한 요구사항을 합리적인 절차에 따라 전달하여 보다 나은 상황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 몇 년 전 내부적으로 치열한 투쟁을 거쳐 적정공사비 예산을 확보하였지만 특정업체가 책정된 예정가격 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으로 투찰하여 수주하게 되면서, 타 부서로부터 그래도 남으니까 공사에 참여하지 않았겠느냐?’는 핀잔을 들은 적이 있다. 궁극적으로 건설과정에서 적지 않은 물의를 일으킨 이 업체를 동조한 것으로 여겨진 필자의 고충과는 별개로 훼손된 건설업계의 신뢰를 과연 돈으로 환산할 수 있겠는가? 눈앞의 현실에 집착한 결과, 업계 전체의 신뢰기반을 붕괴시키는 일이 없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두 번째는 미래상황을 읽어 필요의 진공(vacuum of needs)을 찾아내어 충족시키는 창조자 역할이다. 시간적으로 보다 멀리 볼 수 있는 시력을 확보하여 변화를 수용하고, 필요시 선제적 변신을 통해 상황변화를 주도해야 한다. 필요의 진공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충족되지 않아 불편을 야기하는 부분으로서 지속적인 변화의 산물이다. 충족되지 못한 필요 때문에 불편을 느끼면서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고 답답함을 느끼는 고객의 욕구를 미리 파악하여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은 창조적 건설경영자의 핵심역량이다. 최근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변화의 물결은 적지 않은 정치환경적 리스크(politicalenvironmental risk)를 내포하고 있지만 가까운 미래에 전개될 대규모 기반시설의 확충과 평화지대 조성 등은 건설업계에 큰 기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무슨 일이 생길까?(What will happen?)’라는 생각을 하면서 기다릴 것이 아니라 무슨 일이 생길 수 있을까?(What can happen?)’라는 관점에서 대안의 미래(alternative future)를 설정하고 시나리오를 전개하면서 마스터 플랜(master plan)을 작성하는 것 또한 건설경영자 계층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세 번째는 리더(leader)로서 갈등관리와 신뢰확보 그리고 소통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이해관계를 갖는 구성원들의 요구사항과 조직 전체의 이익이 충돌하여 갈등이 발생할 때, 리더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구성원들을 설득하여 부분적인 요구를 양보 받아야 한다. 또한 시간적으로 현실적 이익과 중장기적 혜택이 상충하는 경우 눈앞의 이익에만 연연하는 사람들에게 가슴이 울렁거리도록 하는 비전(vision)을 제시하면서 단기이익의 양보를 받아내야 한다. 이렇게 사람들에게 필요한 희생을 요청하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다 보니 리더 자신도 강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의 것을 필요한 만큼 포기해야 한다. 리더 역할은 조직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적으로 확장되어 희생과 양보를 감수하는 건설경영자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 희생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조직)은 극소수지만 최근 상황은 리더 그룹의 희생을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하게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기희생을 감수하는 리더는 무엇으로 보상받아야 하는가? 희생을 견디어 내는 리더는 존경과 사랑을 받고 명예심을 간직할 수 있게 된다. 이제 건설경영자는 더 나은 국가사회로 진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희생과 양보를 감수하면서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 신뢰를 기반으로 건설업계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소통체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건설경영자 스스로가 소통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본질적이라고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결코 쉽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럼에도 GDP 대비 약 1415%의 경제적 비중, 기업체 수 70,000여개, 종사자수 160만여 명에 이르는 건설업계가 건설경영자 계층의 집중적인 노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전글  미래, 글로벌, 그리고 경쟁력 / 이상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
다음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설산업 혁신의 방향 / 이복남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 교수